[업무 내용]
• 리스크 관리
: 챗봇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일감에 대한 전반적인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 범위/일정 관리
: 챗봇 서비스 개발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리포팅하며 개발 일정을 관리 합니다.
• 의사소통 관리
: 게임 운영진, 코디네이터 등 협업 부서와의 연계 작업을 조율하고 관리합니다.
• 산출물 관리
: 마일스톤 및 세부 버전에 해당하는 빌드 프로세스 아웃풋 전반을 진행하고 관리합니다.
[필수 역량]
• 기본적인 게임 개발의 공정에 대한 이해도가 있으신 분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추신 분 (협업부서와의 업무 다수 진행)
• 생각하는 바를 문서로 표현이 가능하신 분
• PMS를 통한 업무 진행이 가능하신 분
[우대 역량]
• 자연어 처리 기술(NLP) 및 AI 모델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는 분
•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신 분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및 업무 수행을 위한 높은 문서 작성 능력을 갖추신 분
• PMS를 통한 프로젝트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해 보신 분(Confluence, Jira, Air 등)
• Big Data 구축을 위한 Hadoop, Spark 등의 경험을 가지신 분
[부서 소개]
챗봇서비스실은 NCSoft이 운영중인 게임의 글로벌 운영을 위한 챗봇 개발과 이를 위해 필요로 하는 기술들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ChatGPT의 등장으로 많은 산업 분야에서 챗봇에 대한 다양한 활용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사용이 아닌 실제 서비스나 업무에 ChatGPT를 활용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RAG를 위한 검색 기술,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ChatGPT를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한 LLM 모델의 내재화, 비윤리적인 내용이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필터링 기술,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다국어 처리 기술 등 챗봇서비스실에서는 게임 운영을 위한 챗봇에 필요한 다양한 AI 기술 및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실 서비스에 반영하기 위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면접 안내]
해당 공고의 1차 면접은 프레젠테이션(PT)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연구성과에 대한 발표자료 준비 필요)
[업무 내용]
• 리스크 관리
: 챗봇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일감에 대한 전반적인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 범위/일정 관리
: 챗봇 서비스 개발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리포팅하며 개발 일정을 관리 합니다.
• 의사소통 관리
: 게임 운영진, 코디네이터 등 협업 부서와의 연계 작업을 조율하고 관리합니다.
• 산출물 관리
: 마일스톤 및 세부 버전에 해당하는 빌드 프로세스 아웃풋 전반을 진행하고 관리합니다.
[필수 역량]
• 기본적인 게임 개발의 공정에 대한 이해도가 있으신 분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갖추신 분 (협업부서와의 업무 다수 진행)
• 생각하는 바를 문서로 표현이 가능하신 분
• PMS를 통한 업무 진행이 가능하신 분
[우대 역량]
• 자연어 처리 기술(NLP) 및 AI 모델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이 있는 분
•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신 분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및 업무 수행을 위한 높은 문서 작성 능력을 갖추신 분
• PMS를 통한 프로젝트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진행해 보신 분(Confluence, Jira, Air 등)
• Big Data 구축을 위한 Hadoop, Spark 등의 경험을 가지신 분
[부서 소개]
챗봇서비스실은 NCSoft이 운영중인 게임의 글로벌 운영을 위한 챗봇 개발과 이를 위해 필요로 하는 기술들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ChatGPT의 등장으로 많은 산업 분야에서 챗봇에 대한 다양한 활용 방안에 대해서 모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사용이 아닌 실제 서비스나 업무에 ChatGPT를 활용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RAG를 위한 검색 기술,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ChatGPT를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한 LLM 모델의 내재화, 비윤리적인 내용이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필터링 기술,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다국어 처리 기술 등 챗봇서비스실에서는 게임 운영을 위한 챗봇에 필요한 다양한 AI 기술 및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실 서비스에 반영하기 위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면접 안내]
해당 공고의 1차 면접은 프레젠테이션(PT)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연구성과에 대한 발표자료 준비 필요)